반응형

2025년 4월 29일(화요일, 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기업 실적 호조와 일부 무역 정책 완화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만, 소비자 심리 악화와 무역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시장은 여전히 신중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명마감가등락폭 (포인트)등락률

 

S&P 500 5,560.83 ▲ 32.44 +0.6%
다우존스 40,527.62 ▲ 300.00 +0.7%
나스닥 종합 17,461.32 ▲ 90.00 +0.5%
러셀 2000 1,976.52 ▲ 11.50 +0.6%

 

S&P 500은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연초 대비 하락폭을 일부 만회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연초 대비 5.5% 하락한 상태입니다.

 

반응형

 


 

🔍 상승 배경 및 주요 이슈

 

1. 기업 실적 호조

  • UPS: 1분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아마존과의 계약 종료 및 2만 명 감원 계획 발표로 주가는 0.4% 하락했습니다.

  • GM: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하면서 주가는 0.6% 하락했습니다.

  • Honeywell: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주가는 5.4% 상승했습니다.

  • Sherwin-Williams: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주가는 4.8% 상승했습니다.

  • Coca-Cola: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주가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2. 무역 정책 완화 기대감

 

미국 재무부와 상무부는 일본 및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서 진전을 보였으며,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에 대한 관세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3. 경제 지표 및 소비자 심리

  • 소비자 신뢰 지수: 4월 소비자 신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 무역 적자: 미국의 무역 적자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일자리 공고: 일자리 공고 수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S&P 500 섹터별 성과 (Heatmap)

 

4월 29일 기준 S&P 500 히트맵을 통해 섹터별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술주와 산업재 섹터에서 두드러진 상승이 있었습니다.

  • 기술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술기업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산업재: Honeywell, UPS 등 산업재 기업들이 실적 호조로 상승했습니다.
  • 소비재: Coca-Cola 등 소비재 기업들이 실적 호조로 상승했습니다.

728x90

 


 

📉 시장 변동성 및 리스크 요인

 

  • 무역 정책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의 변동성 있는 무역 정책으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경제 지표 악화: 소비자 신뢰 지수 하락 및 무역 적자 확대 등으로 인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금리 및 경제 지표: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여 시장의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요약

 

  • 시장 반등 지속: 기업 실적 호조와 일부 무역 정책 완화 기대감으로 주요 지수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무역 정책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의 변동성 있는 무역 정책으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경제 지표 악화: 소비자 신뢰 지수 하락 및 무역 적자 확대 등으로 인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S&P 500 히트맵: 섹터별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술주와 산업재 섹터에서 두드러진 상승이 있었습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2025년 4월 25일(금요일, 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강세로 주요 지수들이 일제히 상승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나스닥은 대형 기술주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두드러진 상승을 보였습니다.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명마감가등락폭 (포인트)등락률
S&P 500 5,525.21 ▲ 40.44 +0.7%
다우존스 40,113.50 ▲ 20.10 +0.05%
나스닥 종합 17,382.94 ▲ 216.90 +1.3%
러셀 2000 1,957.59 ▲ 0.50 +0.03%

 

반응형

 

 

주간 기준으로는 나스닥이 6.7%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S&P 500은 4.6%, 다우존스는 2.5%, 러셀 2000은 4.1% 상승했습니다.

 


 

🔍 04.28 한국 증시 현황

 

04.28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장중 2,550대에서 제한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 13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6.65포인트(0.26%) 오른 2,552.95이다.

코스닥은 6.16포인트(0.84%) 하락한 723.53 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835억원 순매수하며 장중 '사자'로 전환했고

개인은 453억원, 외국인은 619억원 순매도하고 있다.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천793억원 매수 우위다.

 

 

출처 :한투증권

 

 

🔍 상승 배경 및 주요 이슈

 

1. 기술주 실적 호조

  • 알파벳(GOOGL):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50% 증가하며 주가가 1.7% 상승했습니다.

  • 엔비디아(NVDA): 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주가가 4.3% 상승했습니다.

  • 테슬라(TSLA):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소식에 주가가 9.8% 급등했습니다.

2.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

중국이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무역 긴장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었습니다.

3. 소비자 심리 지표 하락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지수는 4월에 전월 대비 8% 하락했으며, 이는 1990년대 이후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 S&P 500 섹터별 성과 (Heatmap)

 

4월 25일 기준 S&P 500 히트맵을 통해 섹터별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 38%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기술주와 소비재 섹터에서 두드러진 상승이 있었습니다.

  • 기술주: 알파벳,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기술기업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소비재: 테슬라는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 금융주: 대부분의 금융주가 상승세를 보였으나, 일부 기업은 실적 부진으로 하락했습니다.

 

728x90

 


 

📉 시장 변동성 및 리스크 요인

 

  • 무역 협상 불확실성: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미국 측의 주장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기업 실적 전망 하향: 일부 기업들은 향후 실적 전망을 철회하거나 하향 조정하여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금리 및 경제 지표: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여 시장의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요약

  • 시장 반등 지속: 기업 실적 호조와 기술주 중심의 상승으로 주요 지수가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무역 협상 불확실성: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협상에 대한 상반된 입장으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경제 지표 개선: 일부 경제 지표가 개선되어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시켰습니다.
  • S&P 500 히트맵: 섹터별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술주와 소비재 섹터에서 두드러진 상승이 있었습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2025년 4월 24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를 이어가며,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해임 철회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투자 심리를 개선시킨 결과로 분석됩니다.

 


📈 주요 지수 동향 (2025년 4월 24일 마감 기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IA): +0.8% 상승하여 39,606.57포인트로 마감

S&P 500 (SPY): +1.5% 상승하여 5,471.78포인트로 마감

나스닥 종합지수 (QQQ): +1.9% 상승하여 16,915.63포인트로 마감​

 

이번 상승은 특히 기술주와 AI 관련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 주요 기업 실적 및 주가 변동

 

   - Texas Instruments: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주가 상승

   - ServiceNow: 강력한 실적 발표로 주가 상승

   - IBM: 실적 부진으로 주가 6.78% 하락

   - Fiserv: 주가 18.54% 급락

   - LKQ: 주가 11.58% 하락

   - Alaska Air: 주가 10.13% 하락 ​

 

 

 


📊 S&P 500 히트맵


히트맵에서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반도체 및 AI 관련 주식들이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 기술주: ServiceNow, Microchip Technology 등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소비재: Hasbro는 디즈니와의 계약 연장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 금융주: 대부분의 금융주가 상승세를 보였으나, 일부 기업은 실적 부진으로 하락했습니다.

 

 

📉 시장 변동성 및 리스크 요인

 


  √ 무역 협상 불확실성 :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미국 측의 주장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기업 실적 전망 하향 : Southwest Airlines와 같은 일부 기업들은 향후 실적 전망을 철회하거나 

                                       하향 조정하여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금리 및 경제 지표 :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여 시장의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요약 및 전망

 


√  주요 상승 요인:

     -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의장 해임 철회 및 무역 협상 기대감

     - 기술주 중심의 강력한 실적 발표​



√ 주요 하락 요인:

    - 일부 기업의 실적 부진 및 주가 급락​

    - 전반적으로 시장은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기업의 실적 부진과 같은 요인들은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1. 전체 시장 분위기

2025년 4월 23일 (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경제 지표 기대치 상회로 인해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주요 뉴스 요약:
    •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생각이 없다"고 발표.
    •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일부 완화 시사.
    • S&P 글로벌 PMI 등 일부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됨 → 경기 둔화 우려 감소.
    • 기업 실적 발표가 긍정적 (특히 빅테크 기업).




📈 2. 지수별 흐름

 


 

다우존스 (DJIA) 39,606.57 🔼 +1.07% 대형 제조업, 금융주 중심 반등
S&P 500 5,375.86 🔼 +1.62% 전 업종 강세, 특히 기술/헬스케어
나스닥 (NASDAQ) 16,708.05 🔼 +2.3% 기술주 급등 (엔비디아, 애플, 테슬라 등)

 


 

🧩 3. S&P 500 히트맵 분석 요약 (Finviz 기준)

 

히트맵은 종목별 시가총액과 주가 변동률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도입니다.

  • 녹색 = 상승, 빨간색 = 하락
  • 4월 23일 기준, 거의 전 섹터가 녹색이었으며 특히 아래 섹터가 눈에 띔:

 

🔬 기술 (Technology)

  • NVIDIA (NVDA): +4.8% — AI 서버 수요 폭증
  • Apple (AAPL): +2.3% — 아이패드 신제품 출시 기대감
  • Microsoft (MSFT): +2.0% — 클라우드 수익 급증

 

🏥 헬스케어 (Healthcare)

  • UnitedHealth (UNH): +1.7%
  • Pfizer (PFE): +1.1%

 

🏦 금융 (Financials)

  • JP Morgan (JPM): +0.9%
  • Bank of America (BAC): +1.2%

 

🔋 에너지 (Energy)

  • 유가 상승 영향으로 엑슨모빌, 셰브런 등도 상승세

 

📊 4. 채권 및 금리 시장 영향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23% → 4.17%로 하락
    • 이는 채권 매수세 증가를 의미 → 시장은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낮다"고 해석
  • 달러 인덱스 약세, 금 가격 소폭 상승



🔮 5. 시장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시장 반등: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적인 발언으로 인해 주요 지수는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기술주 주도: 테슬라, 엔비디아 등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관세 우려 완화: 중국과의 무역 긴장 완화 가능성으로 투자자들의 불확실성이 감소했습니다.
  • S&P 500 히트맵: 섹터별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시장은 정치적 발언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2025년 4월 22일(화), 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전일의 급락을 딛고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2.5% 상승한 5,287.76포인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16.57포인트(2.7%) 


오른 39,186.98포인트, 나스닥 종합지수는 2.7% 상승한 16,300.42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러셀 2000 지수도 2.7% 상승하며 1,890.28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DJIA): 39,186.98 (+1,016.57 포인트, +2.66% ~ +2.7%)
  • S&P 500 지수: 5,287.76 (+129.56 포인트, +2.51%)
  • 나스닥 종합지수 (NASDAQ): 16,300.42 (+429.52 포인트, +2.71%)
  • 러셀 2000 지수 (중소형주): 1,890.28 (+49.96 포인트, +2.7%)

 

 

 

728x90

 


반등의 주요 요인

 

  • 1. 예상보다 강한 기업 실적
    • Equifax는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가가 13.8% 급등했습니다.
      또한, 배당금 인상과 3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 3MPulteGroup도 각각 8.1%, 8.4% 상승하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보였습니다 .​

    2.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
    •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미중 무역 긴장 완화 가능성을 언급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다소 해소했습니다 .
    •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의 해임 계획이 없다고 밝히며 시장의 안도감을 자아냈습니다 .

    3. 달러 안정 및 금리 하락
    • 전날 불안정했던 달러 가치와 국채 금리가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소폭 하락한 4.38%~4.39% 수준을 보였습니다.


       4. 저가 매수세 유입

          전날의 과도한 하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 및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주요 종목 동향

  • First Solar: 미국의 동남아시아산 태양광 장비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로 주가가 10.5% 상승했습니다 .

  • Tesla: 1분기 차량 판매가 13%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4.6% 상승했습니다 .

  • Northrop Grumman: B-21 폭격기 프로그램의 손실로 인해 주가가 12.7% 하락했습니다 .

  • Halliburton: 유전 활동 감소와 관세 우려로 주가가 5.6% 하락했습니다 .​

 

 

S&P 500 히트맵

 

반응형

 


 


글로벌 시장 및 원자재 동향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하며, 무역 긴장과 정책 불확실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

금 가격은 온스당 3,500달러를 돌파하며 연초 대비 30% 상승했습니다 .

비트코인은 4.5% 상승하여 91,00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

 


 

 

 

오늘의 핵심 요약

 

이번 반등은 긍정적인 기업 실적과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그러나 연초 대비 주요 지수들은 여전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향후 무역 협상과 경제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반응형

 

2025년 4월 17일(목), 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종목별로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지수는 크게 흔들리진 않았지만 종목별 희비가 뚜렷하게 갈린 하루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소폭 상승했지만, 다우지수는 헬스케어 업종의 급락에 발목을 잡혔고,

기술주는 제한적 조정 속 약보합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출처 investing.com

 

 


주요 지수 마감 현황

  • S&P 500: +0.1% (5,311.90p)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1.3%

  • 나스닥 종합지수: -0.1%


    S&P 500은 소폭 상승하며 버텨냈지만, 다우는 주요 종목 급락에 직격탄을 맞았고, 나스닥도 소폭 하락했습니다.


유나이티드헬스 폭락, 다우지수 끌어내려

헬스케어 대장주인 **유나이티드헬스(UNH)**가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하루 만에 22% 넘게 급락, 1998년 이후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 종목 하나만으로 다우지수를 300포인트 넘게 끌어내렸습니다.

하지만 같은 헬스케어 업종에서도 **일라이 릴리(LLY)**는 당뇨병 치료제 임상 호재로 14% 넘게 상승,

업종 내 엇갈린 흐름을 보였습니다.

728x90


기술주는 잠시 숨 고르기

 

 

  • TSMC: 실적 호조 발표 → 반등 성공
  •  
  • 엔비디아(NVDA): 중국 수출 둔화 우려 → 약세



반도체 강세가 이어진 가운데, TSMC가 견조한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반면, **엔비디아(NVDA)**는 중국 수출 둔화 우려로 약세 마감했습니다.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조정 받았으나 큰 하락은 피했습니다.

 


 

거시경제 & 정책 뉴스

 

  • 트럼프 대통령, 연준 금리 동결에 불만 표출하며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무역정책 리스크에 대해 경고
  • IMF & ECB, 미국발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 성장률에 부담 줄 수 있다고 평가

무역정책과 금리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S&P 500 히트맵

아래는 4월 17일 기준 S&P 500 전체 종목의 변동 상황을 보여주는 히트맵입니다.

붉은색은 하락, 녹색은 상승을 의미합니다. 유나이티드헬스의 붉은색 면적이 유독 눈에 띕니다.

 

출처 finviz.com

 


오늘의 핵심 요약

 

  • 유나이티드헬스, 22% 폭락으로 다우지수 끌어내림
  • 일라이 릴리, 당뇨병 신약 호재로 급등
  • 기술주는 조정 속 혼조 흐름
  • 트럼프·파월·IMF, 정책 변수는 여전히 부담

투자자라면 이번 실적 시즌에 대한 면밀한 주목이 필요하며,

특히 대형 기술주와 방어주 섹터의 수익 흐름이 향후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한국기준 2025년 4월 17일 현재, 미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심각한 하락세로 마감을 했습니다.

또한 미행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규제 강화와 관세부과 파급력에 대한 연방준비제도의 우려에 뉴욕증시가 급락했습니다.

이에 금일 한국 증시 또한 하락장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S&P 500 ETF (SPY): $525.66, 전일 대비 -2.21%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ETF (DIA): $396.77, 전일 대비 -1.72%
  • 나스닥 100 ETF (QQQ): $444.18, 전일 대비 -3.02%

(출처 investing.com)

반응형

 

 

트럼프 전 대통령은 4월 2일 '해방의 날'을 선언하며,

중국에는 34%, EU에는 20%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증시는 하루 만에 3조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이 증발하며, S&P 500 지수는 12%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시키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증대시켰습니다.

(S&P 500)

(출처 https://finviz.com)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과 달러에 대한 비중을 줄이고 있으며, 금과 채권 등 안전자산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 가격은 온스당 $3,300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글로벌 성장 전망이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World 주요)

(출처 https://finviz.com)

 

 

기업들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이중 모드 전망(bimodal guidance)'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나이티드 항공은 안정적인 경제 상황과 경기 침체 상황을 가정한 두 가지 주당순이익(EPS)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기업들이 예측 불가능한 경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조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미국 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의 이동과 기업들의 보수적인 전망을 통해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출처 블롬버그)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현지시간 4월 14일, 미국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뚜렷한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산 전자제품 관세 완화’ 조치가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반응형

 


 

✅ 지수 마감 현황

지수명 마감 수치 전일 대비
다우존스 40,524.79pt ▲ 312.08pt
S&P 500 5,405.97pt ▲ 42.61pt
나스닥 16,831.48pt ▲ 107.03pt
러셀 2000 1,880.88pt ▲ 20.67pt

 

이번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장비 등에 부과된 145%의 고율 관세를 

일시적으로 20%로 완화한 데 따른 것입니다

 


 

🔍 주요 이슈 정리

1. 트럼프의 관세 완화 조치

  • 대상: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장비 등 주요 전자제품
  • 기존 145% 관세 → 20%로 한시적 인하
  • “미국 기업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

 

2. 기술주 전반 상승

  • 애플 +2.2%
  • 델 +6%
  • 엔비디아 +3%
  • 관련 아시아 부품업체도 동반 상승
    • 폭스콘 +9%
    • LG이노텍 +6%
    • 레노버 +3%

글로벌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대만의 폭스콘은 9%, 한국의 LG이노텍은 6%, 중국의 레노버는 3% 상승했습니다.

 

3. 실적 발표 시즌 개막

  • 골드만삭스가 시장 예상 상회하는 실적 발표 → 주가 3% 상승

 

4. 안전자산 선호 움직임

  • 금 가격: 온스당 $3,200 돌파
  • 비트코인: $84,500 이상에서 거래
  •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 4.45%로 하락

    이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728x90


⚠️ 주의할 점: 정책 지속성은 미지수

트럼프 측은 이번 관세 완화 조치가 한시적임을 강조했고, 향후 몇 달 내에 새로운 반도체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도 언급됐습니다.

이에 따라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등은 2025년 S&P500 연간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상태입니다.


 

📌 마무리

이번 증시 상승은 긍정적인 뉴스에 반응한 단기적 탄력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술주의 반등이 계속될 수 있을지, 트럼프의 정책 지속 여부와 이후 발표에 따라 추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 투자자라면 단기 급등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어느덧 고개를 들어보니 봄이 왔다
바쁜 일상에 또 고개를 돌려보니 벚꽃이 한가득 피었다
이번 주말에 돌풍과 함께 비소식이 있어
마지막 벚꽃구경하러 집에 하천을 나와봤다

사진찍을때마다 사진 못찍는다고 따박을 받지만
몇장기록에 남겨본다










항상 자라가 일광욕하는  곳인데
날이 흐려서 한마리 밖에 없다





이름 모르는 들꽃도 많이 피었다







그리고 한시간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포토로그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녁산책  (1) 2025.03.04
봄이 오려나-베란다 커피 한잔  (4) 2025.02.22
정월대보름 달  (5) 2025.02.12
24년 겨울 첫눈(11.27) 내리다  (62) 2024.11.27
11월의 크리스마스  (38)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