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공사 분야 기술자 및 감리원 등급 인정체계 개편을 골자로 지난 24년 4월 30일 개정된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이 24년 5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개정 법령의 핵심은 기술사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만 인정되던 특급기술사 및 특급감리원의 자격을 일정 요건을 갖춘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와 학력·경력자에게도 인정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자 및 감리원 자격기준을 확대하는 것이다.이번 개정은 정보통신공사 분야의 인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간 일선 시공현장에서는 실무능력과 전문지식을 갖춘 특급기술자 및 특급감리원을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지적이 많았다. 기술사가 아니면 특급기술자 및 특급감리원이 되는게 불가능했던 까닭이다.
출처 : 정보통신신문(http://www.koit.co.kr)
반응형
정보통신기술자 특급 자격 요건
위 시행령이 시행되면서 24년 11월 부터 특급 기술자 신청이 조금 더 쉬워졌습니다.
ㅇ 기존 :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 한해 신청 가능
ㅇ 변경 : 아래와 같이 기준이 대폭 완화 되었습니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다만, 특급 기준 요건이 완화 된 만큼, 비대면 실시간 화상교육 5일을 받아야 하며, 교육비도 27만원이 청구 됩니다.
교육기관은 경기광주에 있는 폴리텍대학에서 시행합니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728x90
특급 자격 신청 방법
자격기준을 확인했으니, 이제 신청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 합니다. (경력수첩 가지고 계신분들은 가입하셨을테니...)
경력신고
ㅇ온라긴 경력신고시스템에 접속을 하고 " 기술자.감리원 (경력)인정 신청 에 접속합니다.
경력신고 페이지 하단 "근무경력"에 신청일까지의 근무기간과 업무를 추가 합니다.
경력신고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처리현황이 순차적으로 표시가 됩니다.
제가 간과한것이 11월 초에 시행되면서 요청자가 몰리거라는 생각은 했는데...
이정도 일 줄은 몰랐다는 거네요.
신청한지 한달이 넘어 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검토완료가 되어 "예상등급"이 특급인지 확인하고,
수수료 결제란에서 경력신고 및 자격증발급 수수료 1만원은 결제 합니다.
이후 확인이 되면 2~3일 후에 "완료"가 뜹니다.
특급 인정교육 신청 방법
홈페이지 해당 메뉴에서 "교육안내"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교육과정명 "특급기술자인정교육" 이 나옵니다.
여기서 교육과정명을 클릭합니다.
교육일정이 나오고 선택을 하면 추후 입금 통보가 오고
입금 후에 해당 날짜에 화상회의 프로그램 설치하시고 5일 36시간 교육을 받으시면 됩니다.
매 교육 마지막 시간에 시험이 있고요. 과락은 60점 입니다.
이점수를 5일간 합쳐서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과락으로 탈락을 하면 환불은 아쉽게도 되지 않습니다.
25년 2월 현재 8월 과정까지 공지가 되어 있고요
2~4월달은 대기자가 110~120여명 정도가 되고요, 그 밑으로는 매기수별로 80여명 대기자가 있습니다.
전에는 윈도우7을 설치했다가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포맷후 다시 클린 윈도우 10을 설치해야 했지만, 업데이트가 되면서 바로 클린 윈도우10을 설치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은 MS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시면 되고요
다운받은 파일을 USB로 설치 미디어를 만드셔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윈도우10 설치시 설치중간에 시디키 입력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정품인증을 하지 않아도 업데이트를 하거나 사용상에 문제는 없습니다. 단지, 기능상의 제약이 있고 정품인증을 하라는 문구가 보여질 뿐입니다.
윈도우10 설치가 끝나셨다면,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인증]으로 이동하시고 하단에 [제품 키 변경] 에 윈도우 7 또는 8의 시디키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라이선스 사용시 주의사항
여기에서 주의하실 것은 윈도우7 home 시디키는 --> 윈도우 10 home 으로 설치 윈도우7 pro 시디키는 --> 윈도우 10 pro 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시디키가 올바르게 인식이 됩니다.
처음 부분에 언급한 내용인데 윈도우 라이센스는 4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1. FPP(Full package product) - 처음사용자용으로 패키지에 설치 USB가 포함되어 있어 설치가 편합니다. USB 분실시 추후 정품을 인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2. ESD - 패키지와 달리 메일로 라이선스 키만 구매하며, 설치 USB는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 시디키 분실을 하더라도 MS에 접속해서 다시 확인이 가능하다. 3.DSP(-->COEM) - 완성PC(조립포함)에 한해 사용권이 한정되어 있는 제품이며, 메인보드, PC교체시 사용권 소멸 4.OEM - 대기업의 PC/노트북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 라이선스. 메인보드, PC교체시 사용권 소멸 별도 시디키등의 확인이 안되며, PC문제시 서비스센터를 통해 해결해야 함.
이중에서 윈도우10을 설치할 수 있는 방식은 1~3번이며 FPP/ESD의 경우 PC를 바꿀 경우, 그대로 라이선스 사용이 가능하나 DSP의 경우, 사용하던 PC가 고장나도 다른 PC에 설치가 불가능하다... (법적으로만)
개인의 경우에는 MS에서 이런 부분에 대해 문제를 삼지 않지만 기업이라면, DSP 시디키의 재사용은 불법소프트웨어 사용에 해당되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VPN 설정방법을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그래도 기회가 되면 별도로 글 올리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공유기는 iptime T16000 유선공유기 입니다.
여기에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DDNS와 VPN 기능을 설정해놓았습니다.
최대 5명까지 계정을 만들수 있고, 저는 계정 3개를 만들어놓았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접속이 안된다는 클레임이 들어와서 확인해봤는데
3명중 1명이 접속을 하면 나머지 두명을 접속이 되지를 않았습니다.
접속중인 1명의 접속을 끊으면 나머지 둘중 하나가 접속이 되고, 이전과 같이 나머지 2명을 접속 불가
접속이 안되는 유저들은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오류 807 : 컴퓨터와 VPN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중단되었습니다. VPN 전송 문제가 원인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터넷 대기 시간이나 단순한 VPN 서버 용량 초과 때문입니다. VPN 서버를 다시 연결해 보십시오. 문제가 지속되면 VPN 관리자에게 문의하거나 네트워크 연결 품질을 분석하십시오.
처음에는 원인을 알수 없어 vpn계정을 삭제하고 다시 추가도 해보고
공유기를 재부팅도 해봤습니다.
그래도 해결이 되지않아 시스템 로그를 확인해봤습니다.
음.. 확실히 아무것도 모르는 제가 봐도 에러 메세지가 눈에 띕니다. CTRL:openpty() error
거기에 vpn접속을 실패할 때마다 오류메시지가 추가로 발생이 됩니다.
PC설정에 문제가 아닌 iptime 소프트웨어 쪽에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반응형
이리저리 설정을 찾아보다가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2017년이 마지막 버전... 오래되었으니 최신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재부팅하면 해결되지않을까...
그래서 업그레이드를 해봤습니다....
업그레이드 한방으로 해결!!
이렇게 쉬운데 2시간을 삽질을 했네요....
많지는 않지만 iptime 상담실에 문의해보니 몇건정도 이런 사례가 있는데... 자기들도 연구소에 전달해서 원인을 찾아야한다. 해결 방법은 모르겠다... 원격접속을 하게 해달라.. 그렇더군요... 그러던 와중에 업그레이드로 해결을 봤습니다.
윈도우10에서 화면보호기 설정을 해놓고 화면보호기가 실행되었다가 해제가 되었을때 네트워크 끊김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 경우도 NAS를 연결해서 파일 편집을 하는데, 화면보호기가 실행되었다가 해제하면 증권프로그램도 끊겼다가 재접속이 되고, 파일을 편집하던 엑셀은 저장하려고 하면 "읽기전용"이라면서 저장이 되지않습니다. 이 모든 원인이 화면보호시 절전모드로 진입되어 네트워크 카드(랜카드)에 전원 공급이 끊기기 때문인데요 노트북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절전모드가 필요하겠지만, 일반 PC 사용시에는 절전모드가 필요없으니 원인을 찾아 해결해보겠습니다.
절전모드 확인방법
1. 제어판 -->하드웨어 및 소리 --> 전원 옵션 항목을 선택합니다.
전원옵션은 컴퓨터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방법을 관리하는 하드웨어 및 디스플레이 밝기, 절전 등 시스템 설정의 모음 입니다. 총 3가지 옵션으로 가. 균형 조정(권장) -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에너지 소비와 성능의 균형을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균형 조정(권장)의 설정 상태입니다. 10분이 지나면 디스플레이어가 꺼지고 30분이 지나면 절전모드로 들어가 하드디스크, 랜카드 등에 전원 공급이 차단됩니다. 기본설정으로 디스플레이 끄기 10분 / PC 절전모드 30분 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급 전원관리 설정을 보면 무선 어댑터는 기본으로최대성능으로, PCI Express는 보통 수준의 절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나. 절전 -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로 낮추어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데스크탑에서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으며, 배터리는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주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기본설정으로 디스플레이 끄기 5분 / PC 절전모드 15분 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급 전원관리 설정을 보면 무선 어댑터는 기본으로최대성능으로, PCI Express는 최대 절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 고성능- 에너지 효율보다는 성능에 중점을 둔 옵션입니다. 디스플레이, 하드, FAN 등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기때문에 끊김이 없으나 에너지 소비는 높습니다.
기본설정으로 디스플레이 끄기 15분 / PC 절전모드 해당없음 으로 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끄기는 옵션에 따라 5분, 10분, 15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사용자에 맞게 수정하셔도 되며, 사용안함으로 하셔도 됩니다.
고급 전원관리 설정을 보면 무선 어댑터는 기본으로최대성능으로, PCI Express는 전원관리 해제로 설정되어 있어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가 됩니다.
절전모드 해제 하여 네트워크 끊김없음 방법 - - 첫번째
전원관리 옵션에서 고성능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절전모드에 "해당없음" 으로 설정되어 있어 절전이 되지 않습니다.
절전모드 해제 하여 네트워크 끊김없음 방법 - 두번째
고성능 옵션을 선택하지 않고, 절전도 관리하면서 네트워크 끊김이 없게 하고 싶을때 균형조정 옵션에서 고급 전원관리 옵션 설정을 변경합니다.
고급옵션에서 PCI Express 는 PC의 메인보드에 PCI 슬롯이라고 있는데, 여기에 그래픽카드, 랜카드 등이 설치가 됩니다. 물론 요즘은 유선랜카드, 무선랜카드가 메인보드에 온보드 형태로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이 PCI Express 의 전원관리 설정을 "해제" 로 변경합니다. 그러면 고성능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을 하면 절전모드 진입시에도 랜카드에는 전원 차단이 되지않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끊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