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놀로지 nas에 APC Back-UPS Pro 550 연결하기

 

회사에서 시놀로지 NAS 151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건물에 문제가 있는건지  작업을 하는건지 일년에 서너번은 밤에 순간정전이 되어, 출근을 하면 NAS가 죽어 있는 경우,  가슴이 철렁....

자료는 잘 살아 있나...? ! !

 

이번에 여름도 오고해서 미리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UPS를 구매해서 설치 후기 올려봅니다.

 

UPS 용량 계산

용량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수가 없어 대충 맞춰서...

10~20분정도 버터주면 될거같아 , 이전에 사용했던 APC의 제품으로 결정, 

APC Back-UPS Pro 550 을 구매 / 이제품은 550VA(330Watt) 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소호 등에서 사용하기 알맞은 용량인거 같습니다.

 

 

구성품

본체, 메인전원선(in), out용 전원선 2개, USB/serial 연결케이블, 

사용설명서 CD, ups관리프로그램 CD, 보증서.....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배터리 연결

언박싱을 하면 첨으로 해야 할것이 배터리 연결입니다.

배터리 케이스를 열면 그림으로 설명이 잘 되어 있고

빨간색 케이블을 단자에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UPS 케이블 연결 및 각 파트 설명

두번째는 ups에 케이블 연결을 해야하는데요

충전을 위해 맨 하단에 있는 전원케이블을 연결합니다... 

그럼 충전이 시작되겠지요...^^

그리고 ups와 장비를 연결해주는 전원선을 연결합니다.

 

 

 

UPS 전원부

UPS 전원 연결부는 2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ㅇMASTER

  왼쪽 3개는 일반적인 UPS 전원 연결구 이며, 정전시 배터리를 통해 전원 공급

  NAS, 백업장비, 허브, 모니터 등을 연결합니다.

ㅇControlled by master (일명 서지보호)

 

  오른쪽 3개는  Surge only, 장비를 과전압으로 보호 보호만해주고

  배터리 전원 공급은 되지 않습니다.

  정전시에 배터리 공급이 필요없는 프린터 등을 연결합니다.

 

 

 

 

USB 랜케이블 연결

마지막으로 Date port에 구성품에 있는 USB 랜케이블을 연결합니다.

PC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PC의 USB에

NAS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NAS의 USB포트에 연결합니다.

 

UPS 메뉴창 설명

설치가 끝났고, UPS와 장비에 전원이 인가 되면

전원버튼을 길게 누르면 삐~ 소리와 함께 전원이 켜집니다.

그리고 UPS 창에 정보가 뜹니다.

 

1. 입력 전압

2. 입력 전압 주파수

3. 출력 전압 

4. 이벤트 발생수 (정전 횟수)

5. 정전후 배터리 지원 시간

6. 소비 전력 (330W중 장비가 소비하고 있는 전력)

7. 배터리 전력 점유율


 

저는 NAS와 연결했기때문에, 2번째 사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UPS에 NAS 시놀로지1513+ + 스위치허브 

+ 2HDD 백업외장케이스 + 와이파이공유기 이렇게 연결했습니다.

 

배터리 지원시간은 25분정도, 66W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나오네요

 

UPS와 NAS 연결 방법

이제 nas에 연결했으면 설정하는 법을 알려드릴께요

UPS를 사용하는 주 이유는 순간정전에 버티고

장시간 정전시 NAS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겁니다.

 

NAS의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전원에 들어가시면 UPS 항목이 있습니다.

[UPS지원 활성화] 선택하고 안전모드는 5분으로 설정합니다.

 

 

위에 [장치정보] 클릭하시면 UPS 정보가 뜹니다.   연결이 잘 됐네요

위에 같이 설정하는 이유는

정전시 UPS가 1500초정도 배터리 지원을 해주는데

5분(300초)가 될때까지 정전복구가 안되면, 데이터 보호를 위해 안전모드로 진입하고 UPS 전원을 자동으로 종료해줍니다.

 

 
개인이나 회사에서 정전에 대비해 보호해야할 데이터가 있다면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UPS 도입을 고려해보시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한성노트북 힌지파손 모니터 케이스 수리비용


가성비가 좋아 한성노트북 sparq M53s 구매 사용하고 있는데..

발열, 소음, 힌지쪽 파손등 타업체 노트북에 비해 좀 부족한 감이 있는듯 합니다.


더군다나 AS정책은 대부분 소비자에게 떠넘기는 부분들이 많아 아쉬움이 많네요...

AS센터도 적은데 직영점에 물어보니 토요일은 영업을 안한다고 하네요

이래서 비싸도 LG, 삼성 제품을 구입하나 봅니다.




이번에 오른쪽 힌지부분이 파손이 되면서 열고 닫히는 것이 

잘 안되더니 힘을 줘서 밀었더니 

액정 상판 힌지연결 부분 위쪽에 금까지 가버렸네요...


헐~~~!


직영점에 힌지쪽 파손 AS비용을 물어봤습니다.

상태를 봐야 어디까지 교체할지 알 수 있다는 답변... 

일단 케이스 가격을 알려주세요... 

공임 미포함


액정 상판 3.8만원

액정 베젤 2.4만원

본체 키보드쪽 상판 4.6만원

본체 하판 4.6만원                    


케이스가 이렇게 비쌀 이유가 있을까요?  

노트북이 애물단지네요




서비스센터 갈 시간이 없어서 제가 집에서 분해를 해봤습니다.

본체 힌지 연결부분 파손을 예상했는데... 

어이없게 액정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바(?)가 부러졌네요...

무슨 제품을 이렇게 어이없게 만드는지....




저부분이 부러져서 열고 닫을때 힘을 받지 못해 

패널케이스 상판이 아래 사진처럼 파손이 됐네요




이사진은 참고로 메인보드 사진입니다. 

외장그래픽을 지원하는 기종인 것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CPU 등 방열판이 참 조악하다고 해야할지.... 

제조업체는 팍스콘이네요...

저래서 그런지 여름에 발열이 장난이 아니네요


 


PS. 1월초 직영 **점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했습니다.

  힌지교체비용만  4.4만원, 케이스 파손을 본드로 붙여서 쓰려고요...

  집사람이 대신 노트북을 찾아왔는데, 

  패널배젤 전면에 4곳에 나사구멍에 붙어있는 완충고무(?)가 

  원래 없었다며 그냥 가지고 왔네요

  다음날 제가 전화해서 따지니...그런말 한적 없다고 하네요...  

  (여자분이 가시면 좀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듯)






728x90
반응형
,
반응형

기업에서 한컴 한글뷰어는 무료 신청해서 사용해야




대부분 무료로 알고 있는 한컴 한글뷰어... 

HWP를 보려면 어쩔수 없이 한글뷰어가 필요하다...왜?  

대체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이다...




개인은 무료다....

그런데 2007년도부터인가 기업은 무료가 아닌 

사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MS뷰어는 무료인데... 

왜 한컴은 기업에게 허가제로 바꿨을까... 

총판에 물어보고...웹을 검색한 결과....

한글은 대부분 공공기간에서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문제는 공공기관도 MS쪽으로 눈을 돌리거나 

오픈오피스 사용을 독려한다는 거다...


그렇게되면 한컴의 수익성이 나빠질테니... 

한글뷰어를 기업들이 얼마나 사용하는지 확인을 하기위해

허가(신청)제를 도입하게 되었을거다...

한글뷰어를 사용하는 기업은 잠정적인 한컴오피스사용자로 간주하고...

정품사용량 대비 뷰어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들이 불법소프트웨어 

단속시 타겟이 될 수 있다는... 이 찝찝함




잠정고객을 범죄자로 간주하는 한컴의 째째함....

나중에 고객들이 외면을 해야 정신을 차리겠지...

단속앞에 당당한 기업은 뷰어를 신청해서 

허락을 받고 사용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기업용 무료 바이러스 백신을 찾아봤습니다.


블로그 서핑을 통해 기업무료백신을 찾아봤습니다.

업체에서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바이러스에 대비할 수 있다면 좋은 일이겠지요



 

 

1. Microsoft Security Essentials 


  - 10대 이하의 PC를 사용하는 소규모 기업에서 무료 사용가능 

  - 윈도우7까지만 지원

   - 다운로드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security-essentials-download



2. 윈도우10 디펜더


  - 윈도우 10의 경우 기본 백신인 디펜더를 사용해도

    바이러스 예방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3. 코모도 백신

   

 - 사이트

http://www.comodo.com/home/internet-security/free-internet-security.php 


- 다운로드

https://www.comodo.com/home/download/during-download.php?prod=cis&from=free-internet-security-page&track=10687&af=10687


사이트에도 무료라고 설명되어 있고



   


  프로그램설치시 약관에도 기업무료라고 되어 있네요.


 


 


4. 가비아 백신


 - 호스팅 전문업체 가비아에서 제공하는 기업용 프리미엄 무료 백신

 - 2017년 7월부터 공급하는 기업용 백신으로 터보백신 기반

 - 웹에서 무료로 제공하지 않고

   상담신청을 한 후 담당자와 상담 후 신청서 작성하고 

   파일 및 시리얼번호 제공 받아 무료로 사용 가능


 - 상담하기


   ㅇ 상담하기](https://security.gabia.com/quotation)

   ㅇ 신청후 일주일 정도면 백신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엑셀에서 리소스가 부족하다는 오류 메세지가 뜰경우


엑셀을 쓰다보면 리스소 부족 팝업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이런경우가 더러 있었는데 원인은 많은데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엑셀창을 여러개 띄워서 쓴다던지, 

엑셀 데이터가 크다던지, 

함수등 자동계산이 많다던지 하면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엑셀이외에 윈도우등에서 바탕화면 설정등을 

고급으로 해놓으면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MS사이트에 정리된 내용이 있어 걸어두었으니 참고하세요


https://support.microsoft.com/ko-kr/kb/928976#Method1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익스플로러에서 네이트 팝업 광고 차단 방법


익스플로러에서 네이버, 네이트, 다음 등의 포털을 사용할 경우

메인 상단에 광고와 로그인 부분 하단에 플래시 광고가 뜹니다.


특히 네이트의 경우 로그인 부분 하단에 광고는 

마우스 포인트가 1초이상 머물게 되면 대형광고 팝업창이 떠서

불편한 경우가 생깁니다.

이런 플래시 광고를 아예 화면에 뜨지 않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아래 화면이 네이트 초기 화면입니다.

메뉴 하단에 광고가 있고요

로그인 하단에 광고가 있습니다.



로그인 하단에 마우스 포인트를 1초이상 머물게 하면

아래와 같이 대형 팝업 광고창에 뜨게 됩니다.

의도하지 않은 광고가 짜증이 나네요



이제 광고를 없애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광고블럭 프로그램들도 있으나, 그런건 찝찝해서 안씁니다.


익스플로러에서 인터넷 옵션 으로 들어갑니다.

보안탭 - 제한된 사이트 항목을 선택하고  사이트를 클릭합니다.



차단하고 싶은 사이트를 입력하는 곳인데요

광고에 연결된 사이트를 차단 시킵니다.

cyad1.nate.com  을 추가 해줍니다.



cyad1.nate.com 을 추가. 적용한 후에 익스플로러 새로고침하면

아래와 같이 2개의 광고 영역이 빈칸으로 나옵니다.


이제 광고 팝업 걱정 안하고 사용할 수 있겠네요...


도움이 되셨나요?


PS. 다음과 네이버 역시 전에는 동일하게 차단이 되었던거 같은데

     현재는 차단이 안되는거 같습니다.

     별로 불편한게 없어 이부분은 패스합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네이버 뉴스 댓글 삭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네이트 댓글 삭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2019/04/18 - [스마트폰_PC/PC관련] - Nate 뉴스 댓글 삭제하는 방법


궁금하신분들은 확인해보시고요



네이버 역시 네이트와 댓글 삭제 방법을 거의 동일합니다.

기능상의 차이가 있을 뿐.


네이버 뉴스를 아무거나 클릭하고

하단 댓글 창으로 이동합니다.




댓글창 상단부에 [내댓글] 이 보이시지요^^  클릭해주세요

그럼 댓글 리스트들이 보일겁니다.



테스트 한다고 댓글을 몇개 입력하려고 했더니

위와 같은 팝업이 뜨네요...

이유는 알거 같은데... 너무 1차원적인 조치라...

따로 설명을 하지 않겠습니다.





댓글 리스트들이 보이시지요

네이트와 다른점은

 - 댓글을 개별로 일일이 삭제해야 한다는 점...

 - 댓글을 삭제 않고도 [비공개 처리] 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는 점


결과적으론 댓글이 많을 경우

네이트 보다는 삭제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겠네요...

비공개로 하면 되겠지만... 이건 임시 방편이니...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NATE에 내가 단 댓글을 찾아서 지워보자




요즘은 인터넷 장의사 다 해서...

인터넷 상에서 내 존재를 지워는 것이 유행이고 트렌드 인데요

인터넷상에서 재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을 하다보면

나중에 후회가 되고 지우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저 또한 그래서 포털 뉴스에 댓글을 모두 지우고

이제는 댓글을 쓰지 않습니다.

대신 댓글을 썼다가 지우는....ㅋㅋ



이제 첫번째로

포털사이트 네이트 뉴스에 내가 단 댓글을 지우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네이트에 접속하시고

아무 뉴스를 클릭해주세요




오늘은 손흥민 선수가 맨시티와의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한 것이

눈에 띄네요

기사의 하단으로 가면 댓글 창이 나오는데요

이렇게 댓글을 달아봤습니다.


그 후에 붉은색 박스 표시해놓은 [MY댓글]로 들어가시면

네이트에서 단 댓글의 리스트가 보입니다.



지우고 싶은 댓글에 체크하시고 삭제하시면 

댓글과 함께 댓글의 댓글도 함께 삭제가 됩니다.

지금은 댓글을 다 지워서 보여드릴 수가 없는데요

한페이지에 10개(?) 정도의 댓글만 보여지며

일괄 삭제가 안되고 페이지별로 삭제를 하셔야 합니다.

몇년동안 댓글이 몇백에서 몇천개가 될건데...

이거 지우는 것도 일이네요...


인터넷에 내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좋지만

한번더 생각을 하고 신중하게 댓글을 다는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좋겠네요


알바가 설치는 정치댓글은 이제는 

NO~ NO~!!





728x90
반응형
,
반응형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 RSS + 사이트맵 등록 방법

티스토리를 만드셨다면

검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포탈에 사이트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네이버, 다음, 구글 등에 등록을 해주시면 되는데


토탈검색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네이버 검색등록 확인 방법

네이버 웹마트터도구에 등록은 되어 있으신가요?

https://webmastertool.naver.com/

이곳에 등록을 해야 네이버에서 검색이 원활이 되십니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접속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등록을 합니다.


웹마스터도구 접속하셔서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합니다.



추가를 하면

사이트의 소유 확인을 합니다.

HTML 파일 업로드 방식과 HTML 태그 입력 방식 두가지가 있는데

티스토리는 root에 파일 업로드가 되지않기 때문에

HTML 태그 입력 방식을 선택합니다.



티스토리는 HTML 태그 방식을 선택합니다.


메타태그를 복사하셨으면

티스토리의 관리 - 스킨편집 - HTML 편집에 들어가서셔



아래 사진처럼

<head> </head> 태그 사이에 붙여넣기를 하고 저장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해당 사이트가 연동이 됩니다.


사이트 등록이 완료되었다면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관리 페이지로 넘어옵니다.


사이트 최적화에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바로 등록을 하셨다면 일부에 주황/적색 표시가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런 부분을 개선해 줍니다.




그중에 대표적인것이 검색로봇 원활하게 수집을 할 수 있도록

사이트맵 등록과 RSS 등록을 합니다.


RSS 제출

RSS 등록은 본인 티스토리 주소에 " /rss " 만 추가해서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간단하네요..


사이트맵 제출

다음은 사이트맵 등록방법인데요

무료 사이트맵 작성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사이트맵 만드시고

http://www.web-site-map.com/

티스토리에 임의글 작성하여 사이트맵 파일을 업로드하고

그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사이트맵 작성 방법은 인터넷 검색하시면 

많이 나오니 패스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이트구조쪽에

모바일 사용성이 적색 X 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티스토리의 스킨이 모바일 반응형이 아닌 경우 입니다.

티스토리의 스킨을 모바일 반응형으로 만들면

모바일 검색시 사용자가 더 편하게 글을 볼수 있다고 하네요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자... 이제 끝나셨나요?

이러면 검색 포털에서 내가 쓴 글이 검색이 될 확률이 놓아집니다.



단... 네이버에서의 검색부분은 정책이 변경된 부분이 있으니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가 네이버에 검색이 안되는 이유

http://redpost0.tistory.com/263?category=792910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가 네이버에 검색이 안되는 이유

언제부터인가 티스토리 블로그의 이용자 유입수가 줄었다면

한번 확인해보세요.


저도 상반기는 괜찮았는데

하반기 들어오면서 방문객수가 줄어들어 확인을 해봤습니다.


10월에 쓴 글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방문객 유입유형을 확인해봤습니다.



네이버 검색이  "0" 건이네요

다음검색은 20건인데....

이말은 네이버에서 검색이 안된다는 뜻


그래서 검색을 통해서 

티스토리가 네이버에 검색이 안되는 이유를 찾아봤습니다.

올바른 대답들은 없고

대부분이 RSS등록, 사이트맵 등록에 대한 글만 있어 

제가 직접 찾아봤습니다.


네이버 검색영역 통합


고객센터에서 검색기준을 확인해봤습니다.

올해초부터 검색영역 통합작업을 했다고 하네요

기존에는 사이트 / 웹문서로 구분되어 있던 것을

웹사이트로 통합해서 한꺼번에 보여준다고 합니다.





검색결과나 웹사이트노출 순위기준

자체적으로 정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노출되기때문에

강제로 상위 노출시킬수 있는 방법은 없는 듯합니다.




여기서 더 ! 중요한 것은

티스토리가 블로그 영역에서 검색되던것이

웹사이트 영역에서 검색이 된다는 것입니다.


네이버에서 어떤 정책으로 

티스토리가 웹사이트로 옮겨졌는지는 모르겠는데

네이버에서 티스토리를 견재하고

자사 네이버 블로그를 우선 검색되게 하기 위해

제한을 둔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부분에 대해 네이버에 질의를 하신분들이 꽤 있는거 같은데

묵묵부답이라고 하네요...


당분간은 네이버 검색에 의한 방문객 감소는 

피할 수 없을 듯합니다.




텐핑 앱을 통해서 편하게 소문내고 포인트도 더 많이 쌓아보세요. 텐핑 앱은 카카오톡·페이스북·밴드·네이버 블로그 등에 쉽게 소문을 내고 수익을 쌓을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Android, iOS 지원) [주요 특징] 1. 콘텐츠를 친구에게 소문내세요. - 친구가 클릭해서 콘텐츠를 보거나 구매·참여·설치하면 포인트가 쌓입니다. 2. 선후배를 맺고 인센티브를 받으세요. - 선후배를 맺으면 후배의 수익에 따라 선후배가 함께 매일 추가 인센티브를 받습니다. 또 후배가 첫 수익을 내면 100원을 드리고, 다양한 중수 혜택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3. 쌓은 포인트는 현금으로 인출해요. - 유효한 소문을 내고 쌓은 포인트는 매달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5,000원 이상 쌓았다면 언제든지 인출 신청하세요.



728x90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