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10  폴더 및 파일 이동, 삭제시 반영이 느려져 새로고침을 해야 하는 경우

 

바탕화면 등에서 파일을 이동하거나 삭제했는데... 파일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 F5 새로고침을 하면 그때서야 반영이 되는데요

이런 현상에 대한 해결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해 결 방 법-첫번째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개인 설정] 클릭

 

설정화면에서 --> [테마] 클릭

                  --> 화면 오른쪽에서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클릭

                  --> 설정화면이 뜨면 하단부 [기본값 복원] 클릭

 

 

해 결 방 법-두번째

 

 

 

파일 탐색기에서 [파일]로 들어가서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을 선택합니다.

 

폴더옵션에서 [보기]를 선택하고

[탐색창]에서 "라이브러리 표시 / 모든 폴더 표시"가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선택되어 있다면 [기본값 복원]을 누르면 해제가 될겁니다. [적용]을 한번 누르시고

다시 "라이브러리 표시 / 모든 폴더 표시" 를 선택하고 적용을 해줍니다.

 

 

두번째로, 아래와 같이 한번 더 설정을 해줍니다.

 

해 결 방 법-세번째

이후에 사용해 보시면 좀 빨라진 느낌을 받으셨을 겁니다.

기왕 하시는 금에 디스에 오류 검사도 함께 진행해주세요

윈도우키 + X  --> A (명령프롬프트 관리자)로 들어가셔서

sfc /scannow 명령을 입력해줍니다.

 

 

검사 완료가 결과입니다

처음 실행시에는 오류가 있어 자동 복구했는데, 두번째 실행하니 오류가 없다고 나오네요

 

해 결 방 법-네번째

윈도우 시스템 이미지 복구 명령어 인데...문제가 있다면 복구 문구가 뜹니다.

프롬프트창에 추가로 아래 작업도 해줍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해 결 방 법-다섯번째

윈도우키 + X  --> A (명령프롬프트 관리자)로 들어가셔서

bcdedit /set disabledynamictick yes  을 입력해줍니다.

==> 전력관리에서 절전모드를 해제한다는 내용입니다.

 

 

해 결 방 법-여섯번째

레지스트리를 건드리는 방법인데 새로고침의 주기를 0으로 설정해서 바로 보여주는 설정인듯 합니다.

 

윈도우키 + R로 "실행"을 실행시키고 "regedit" 를 입력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 

두군데로 찾아가셔서
Update 폴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없다면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Control\ 에서 오른마우스 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키 를 선택하고 폴더가 생성되면 폴더명을 Update 로 입력합니다.

 

 
생성된 "Update" 폴더에 오른마우스 클릭하고 새로만들기 - DWORD(32비트)를 선택

만들어진 DWORD(32비트)의 값 이름은 "UpdateMode" 로 입력합니다.

 

"UpdateMode" 오른마우스 클릭 -  수정을 선택하고

값 데이터는 0   / 단위는 16진수를 선택합니다.

F5(새로고침) 해주면 설정이 끝납니다.

 
여기까지 여러가지 설정을 해줬는데요
잘 사용이 되다가 중간에  한두번씩 프리징이 걸리거나 느려지는 건 있는데...
이전보다는 나아졌다는 느낌입니다.
 
윈도우에서 해결해주지 않으면 확실한 해결책이 없을 듯합니다.
당연히 포맷을 하면 재설치 하면 되겠지만.... 이건 일이 너무 커져서 패스...
 
윈도우10 20H2 로 업데이트를 한 한달전으로 복구해보는 방법도 생각중인데...
번거로워서 생각을 좀 해봐야 겠습니다....
==============================================
2021.04.26 추가

윈도우10 20H2 등 업데이트를 삭제해봤는데도 증상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업데이트되는 시점에 여러가지 환경이 변경된거 같은데...
복구시점을 만들어놓지않아 이전 그대로 복구가 되지않아 의미가 없는거 같습니다.

 

해 결 방 법-일곱번째

탐색기 - 옵션 - 폴더 및 검색옵션변경 에서

 

" 아이콘을 항상 표시하고 미리보기는 표시하지 않음" 옵션을 선택 한다.

미리보기 썸네일을 표시하지않도록하여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지 위함이다.

여러번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여덟번째 방법이 아직까지는 효과가 있는거 같습니다.
 
2021.07.13  포맷 후 윈도우 10 재설치

3개월을 고생하고 여러가지를 시도해봤지만 효과를 못봤습니다.

결국엔 오늘 벼르고 별러 포맷을 해버렸습니다. 속이 시원하네요

 

2021.07.19 포맷을 해도 소용이 없다?

SSD도 바꾸고 포맷을 했는데 몇일동안은 괜찮더니 다시 딜레이 현상이 발생되네요
포맷전보다는 조금 나아진거 같은데... 몇시간동안 포맷을 한 보람이 없어져 버렸네요..
윈도우10의 고질병이 아닌가 싶네요...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투명 워터마크와 모자이크 기능이 있는 포토스케이프를 소개합니다.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경우, 사진을 편집하시는데

투명 워터마크와 모자이크를 적용해야 할때가 많으시지요

티스토리 경우에는 에디터가 업데이트 되면서 Flash 기능을 삭제하면서 이런 기능들이 모두 없어졌습니다.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능과 텍스트 삽입기능은 있는데... 일괄 적용이 되지않아... 번거로우니 있으나 마나

무료프로그램중에 쓸만한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합니다.

이름은 포토스케이프...

꽤 오래전부터 있는 프로그램인데.. 무료임에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고

윈도우10 전용인 포토스케이프 X 버전도 있으니 사용해 보시면 좋은거 같습니다.

 

2021.03.26 - [스마트폰_PC/PC관련] - 티스토리용 투명 워터마크 만들기 / 사진에 모자이크 적용

 

제 글중 투명 워터마크와 모자이크 적용하는 방법을 링크하니... 포토스케이프 기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728x90
반응형
,
반응형
티스토리용 투명 워터마크 만들기와 모자이크 작업하기

 

티스토리를 하면서 이전 버전에서는 워터마크도 만들고 사진에 모자이크 작업을 하기 편했는데

새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모자이크 적용이 없어지는 등 다운그레이드 되면서 많이 불편해졌습니다.

그래서 이참에 워터마크도 새로 만들고,  사진에 모자이크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이전까지는 온라인포토샵 Pixlr 또는 온라인 사진 편집 사이트를 활용했는데

작업후 사진을 다시 다운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프로그램을 알아보게 됐습니다.

 

 

소개할 프로그램 이름은 포토스케이프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며,  개인/회사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토스케이프 3.7 버전은 윈도우 xp~10 버전에서 사용합니다.

 

3.7 버전을 윈도우 10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윈도우 10용 버전인 포토스케이프 X 도 있으니, 윈도우 10 사용자는 별도로 이버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포토스케이프 X (윈도우 10용) - MS store 에서 설치

여기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포토스케이프를 활용한 투명 워터마크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요즘에 윈도우10을 많이 사용하시기는 하는데, 포토스케이프 X용 보다는 3.7버전에 사용하기가 수월해서 

이번 방법은 포토스케이프 3.7 버전을 사용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의 실행 첫 화면입니다.

여러가지 메뉴에서 [사진편집]을 선택합니다.

 

우선 투명 워터마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투명바탕이 필요한데요

포토스케이프에서는 새이미지 생성이 되지않기 때문에

ProgramFile(x86)-Potoscape-balloon 으로 들어가셔서 - 말풍선 등의 여백에서 투명 바탕을 추출하여 사용합니다.

그런데 X버전은 ProgramFile 폴더에서 설치된 폴더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제가 미리 투명 바탕을 만들어 

올렸습니다.

 

워터마크 투명바탕.png
0.00MB

다운받으셔서 활용하세요

 

자.. 투명바탕이 준비가 되셨다면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

말풍선을 선택하시고 그림과 같이 하단부 여백을 잘라 저장을 해줍니다.

여백이 아닌 말풍선 안쪽을 선택하면 바탕이 투명이 아닌 White로 만들어지니 주의해주세요

 

투명바탕화면을 만드셨다면 작업을 하기 위해 다른이름으로 저장해두는게 좋을거 같네요

 

이제 투명 워터마크에 내용을 입력할 차례입니다.

하단부에 [개체] 를 선택하시고 "T"(Text)를 선택하시면

 

텍스트 입력창이 나오고 원하시는 내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원하는 Font가 없는 경우에는 네이버 무료 폰트에서 다운을 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

 

텍스트만 넣으면 심심하다.. 싶으신 분은 "T" 위쪽 "하트"를 선택하셔서 아이콘 등을 삽입하실 수 있습니다.

투명 워터마크가 완성이 되었네요

 

티스토리에서 사진에 워터마트 삽입하기 (한번에 이미지 1개만 가능)

워터마크를 만들었다면 이미지/사진에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티스토리 내부에서 워터마크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이미지를 선택하시면 상단부에 [이미지편집]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편집 도구들이 보여지게 되고요.. 1번 스마일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로 위에 [텍스트/워터마크] 중에 워터마크를 선택합니다.

텍스트를 선택하시면 당연히 텍스트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 + " 를 선택하면 워터마크 이미지 불러오기 창이 뜨고요, 파일을 선택하면 워터마크가 적용이 됩니다.

워터마트를 선택하셔서 기울기 및 크기를 조정하시면 됩니다. 조정이 끝나셨다면 오른쪽 하단에 V 표를 눌러줍니다.

 

워터마크 조정이 완료되었으면 [save]를 눌러주시면 최종적으로 이미지에 적용이 됩니다.

 

워터마크가  잘 적용되었네요

 

포토스케이프에서 여러 사진에 일괄 워터마크 삽입하기

  위에서 티스토리 내부에서 워터마크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한번에 사진 한장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순서가 번거로운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포토스케이프에서 여러사진에 일괄로 워터마크 삽입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메뉴중에 [일괄편집] 으로 들어가시고요

[사진추가] 버튼을 누르거나 Drag & Drop 하셔서 사진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사진을 추가하셨다면, 

오른쪽 메뉴에서 [개체 - 사진]을 선택하시면 워터마크 파일을 불러옵니다. 여러개의 개체를 불러올 수 있네요

최종적으로 각 파일별로 워터마크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시고 개별 또는 모든 사진 저장을 하시면 끝입니다.

 

마지막으로 사진에 모자이크 적용방법을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사지에 모자이크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포토스케이프에서 다시 사진편집을 들어오시면 하단부에 [도구]를 선택하시고 모자이크를 선택합니다.

 

모자이크를 선택하시면 모자이크의 강약을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이크 강약을 선택하시고 모자이크를 주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이 모자이크가 적용이 됩니다. (중)으로 선택했는데.. 완전 뭉게 지는걸 볼수 있습니다.

 
워터마크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과  모자이크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728x90
반응형
,
반응형

 

네트워크 드라이브 "내 자격 증명 기억" 해제 삭제하기

 

NAS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시  접속시 마다 매번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있는데

테스트를 하면서 "내 자격 증명 기억" 에 체크를 했는데, 그때부터 패스워드가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패스워드 입력없이 그대로 접속이 되어 버렸습니다.

 

회사에서 내 PC에 다른 사람이 접속했을때 내 드라이버에 있는 내용을 보는것이 달갑지 않을때를 대비해서

"내 자격 증명 기억"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접속시 옵션으로 해제하는 방법이 있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찾아봤는데.... 없네요..

 

혹시나 네트워크 드라이브 생성시 옵션인 "다른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연결"로 하면 될까 싶어서 해봤는데.. 이것도 실패

그래서 수소문해서 찾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간단하지만, 쉽게 방법을 찾을 수 없게 만들어 놨네요...

제어판 - 사용자계정 - 자격 증명 관리자 - winddows 자격증명 관리 로 들어갑니다.

 

windows 자격관리 증명 에 들어가시면 저장된 로그온 정보가 보이며, 이를 삭제하시면 됩니다.

 
해결에 도움이 되셨나요?
 

 

728x90
반응형
,
반응형

 

PC 재부팅만 시키면 NAS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해제되어 연결안되는 증상

 

최근 윈도우10 버전 20H2로 업데이트 하면서 어느날 갑자기 NAS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접속이 안된다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열심히 구글과 네이버 검색해서 해결방법이 올라온대로 해봤는데..

ㅇ네트워크 및 공유센터-고급공유설정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ㅇ명령 프롬프트상에서 net use 명령어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삭제하고 다시 연결하는 방법

ㅇ레지스트리에서 MountPoints2 삭제하는 방법

ㅇ 이더넷 속성에서 IPv6 가 해제되어 있는지 확인

모두 별 의미없는 내용들을 길게만 작성해놓고 있어서 도움이 안되었습니다.

 

연결을 끊고 다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면 접속이 되는데, PC를 재부팅하면 다시 위와 같이 연결이 또 안되고..

매일 아침 이짓을 할 수가 없어 별짓을 다했봤는데... 해결 방법이 없네요.

 

더보기

일단 시놀로지 NAS 카페에 글을 올렸는데... 좋은 해결 방법이 올라오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알아낸 임시 해결 방법을 사용하셔서 기다려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접속시, 제 경우는 다른 사람이 제 PC를 접속할 수도 있기때문에

매번 접속할때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패스워드를 기억시켜놓지 않았습니다.

 

접속시 "내 자격 증명 기억" 즉 패스워드를 자동연결해서 설정하면 재부팅시에도 연결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반면 네트워크 프린터를 연결시킨 것은 패스워드가 없어서인지 역시나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급한대로 이렇게라도 사용하시면 도움이 될거 같아 올려봅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이 앱은 windows 10과(와) 호환되지 않으므로 지금 제거하십시오 --> 제거가 안되는데???

 

Windows10을 사용하시는분들중에 윈도우 업데이트시 오류가 발생하면서 업데이트가 중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중 한가지가 "이 앱은 windows 10과(와) 호환되지 않으므로 지금 제거하십시오" 라는 문구와 함께

"VirtualBox 를 수동으로 제거" 하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뭐지??

내가 사용하는 VirtualBox 버전은 6.1이고 윈도우10과 당연히 호환되는데..

 

어쩔수 없이 제어판에서 VirtualBox를 제거 합니다.

하지만 또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분명히 제거 했는데???

 

이 오류는 가상 버츄얼머신 프로그램을 여러개 사용하셨던 분들 중에서 많이 발생하는데요

저도 VirtualBox 이외에 모바일 가상머신을 여러개 설치했었는데요

녹스, LDplayer,미뮤,블루스택 등 여러가지 프로그램중에

LDplayer 가 문제가 되는거 같습니다.

 

LDplayer 언인스톨시 깨끗하게 삭제가 되지안고 폴더가 남으면서

윈도우가 VirtualBox로 인식을 하는거 같습니다.

C://sindows/Program Files 에 들어가 보면 dnplayerext2 라는 폴더가 있을 겁니다.

dnplayerext2 폴더 안을 보면 파일 이름들이 VirtualBox와 유사하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이 폴더는 VirtualBox 와는 상관없는 폴더 라는 점....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LDplayer를 사용하지 않는 다는 가정하에... dnplayerext2 폴더를 과감하게 삭제합니다.

어디를 보면, 안전모드로 해야한다.. 뭐 이런 얘기들이 있는데... 그냥 삭제하시면 됩니다.

 

삭제가 되었다면 윈도우 업데이트를 다시 시행합니다.

 

업데이트가 잘 진행되고 있네요...

밀린 업데이트가 많은 경우, 업데이트 다시 시작은 여러번 시도해야 하는 경우가 있긴한데

업데이트는 문제없으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네이버 MYBOX  찌거기 폴더 삭제하는 방법

네이버 클라우드가 네이버 마이박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네요..



네이버 마이박스에 파일을 넣으려면 PC에서 접속을 해야 하는데..

이런 수고를 덜기위해 자동 동기화 해주는 전용 탐색이 프로그램이 있어 설치를 해봤습니다.... (호기심에요)

윈도우용 "네이버 mybox탐색기"를 다운받아 설치하시면

기본폴더 또는 지정폴더에 설치가 되며, 기존에 마이박스에 있는 데이터들이 PC로 다운로드가 됩니다.

이후 부터는 추가/삭제하는 것이 그대로 반영이 됩니다.....



그런데 사용하다보니 필요도 없고, 용량도 많이 차지해서

지워버리기로 했습니다.

제어판-프로그램 삭제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했습니다....

하지만 왜일까요

다운로드된 데이터들은 삭제가 되지를 않았습니다.

사용자가 선택을 하라고 하는 것일까???

가차없이 삭제해버렸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바탕화면에 생성되었던 "네이버 마이박스"폴더 삭제가 안되네요

뭐 이런....

폴더 오른마우스 클릭해서 메뉴를 봐도 "삭제"는 없습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곳에도 폴더는 없고요



해당 폴더를 더블클릭하면 위와 같은 오류 팝업이 뜹니다.

태생적으로 네이버에서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오류가 있는 듯합니다.

개선된 버전이 나올 만도 한데.. 아직까지 안나오는거보면 관심이 없나봅니다.


그래서 해결방법은 수동으로 삭제를 해야 합니다.

실행에서 regedit를 타이핑하거나

윈도우 시작 아이콘 누르시고 메뉴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찾아 실행해줍니다.


편집-찾기에 가셔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찾아봅니다.



검색결과가 하나 나왔네요...

저게 해당 폴더 정보입니다. 이걸 삭제해주면 없어지겠지요

컴퓨터\HKEY_CLASSES_ROOT\CLSID\{2AE4EDB2-9A0B-4BEE-942B-8F69E4D13798}


해당 폴더를 선택하시고, 오른마우스클릭-삭제 해줍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으면 자동으로 새로고침되어 반영됩니다.


최종확인

네이버MYBOX 폴더 삭제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시놀로지 NAS 접속시 " 이 서비스 이용 자격이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외부접속 테스트만 해보다가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를 하게 됐는데,

첫날 집에서 웹(크롬) 접속을 하는데  "이 서비스 이용자격이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접속이 안되네요

헐 이런 난감한 일이....

여기저기 직원들에게서 전화와 카톡이 빗발 칩니다.

다행히 관리자 계정으로는 접속이 됩니다.

외부접속 테스트만 해보고, 실제 사용을 안해봤는데.. 후회가 막급이네요



# 접속시 증상은

ㅇ회사에서 2가지 기종을 사용하는데 한가지 기종만 접속 안됨

ㅇ크롬, 익스플로러 동일한 증상이며

ㅇadmin은 접속이 되고 기존 사용자 ID 접속은 안되는데, 

   신규로 ID를 생성하면 접속이 됩니다.

    --> (브라우저 재실행하니까 새로 생성한 ID도 접속이 안되네요)

ㅇ웹에서는 접속이 안되는데, 모바일 DS file에서는 문제없이 접속이 됩니다.



# 구글링 해결 방법들

ㅇ 크롬에서는 안되고 익스플로러에서 접속이 되는 경우는 크롬의 확장프로그램으로 설치된 "데이터세이버"를 삭제해라  

   --> 대부분이 이 답변이네요.. 전 이런 확장프로그램이 있는지 지금 알았네요

ㅇ HTTPS 리다이렉팅 기능을 사용하지 말아라

  -->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 방법

 4시간 동안 PC와 삽질을 한 결과 우연히 해결됐습니다.

 NAS 두대를 번갈아 가면서 설정이 틀린게 뭐가 있는지 찾는데.. 너무 오래 걸렸네요...

ㅇ 사용자 생성시 그룹설정하고 응용프로그램 권한 설정했는데

ㅇ 그룹 생성시에도 응용프로그램 권한 설정을 했습니다.

  응용프로그램이 사용자 및 그룹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음에도

  이거 두개가 충돌 나면서 접속 제한이 발생된거 같습니다.



해결==> 

그룹의 응용프로그램 권한에서 "허용/거부"를 모두 해제 했습니다.

이후부터는 접속이 되네요

이래도 저래도 안되시는 분들 이거 보시고 해결되셨으면 좋겠네요.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윈도우7을 윈도우10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윈도우10이 처음 출시되었을때 MS에서 2017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무료로 업그레이드를 해주는 때가 있었다.

그때는 윈도우10이 출시된 초기라 금융권등 접속에 문제가 있어서 업그레이드를 미뤘지만

2020년 1우러 14일 윈도우7 업데이트 지원이 중단되면서, 윈도우10으로 OS가 빠르게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무료업데이트 기간은 지났지만, 불법소프트웨어가 아닌 MS를 통해 윈도우10 무료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한다.

단, 현재 윈도우7 정품 사용자에 한함.




위 사이트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일단 설치를 위해 [지금도구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한다.


여기서 설치방법은 2가지 중에 선택한다.

1. 도구를 사용하여 PC를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 현재작업을 하고 있는 PC에 윈도우10을 다운받아 바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2.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미디어를 만들어 다른PC에 윈도우10설치하기

  - 윈도우10 OS를 다운받아 다른PC에 윈도우10을 업그레이드를 할경우 사용하며, USB 메모리 8G 이상이 필요하다.

  - 업그레이드할 PC가 여러대라면 USB로 설치디스크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시간이 오래 걸림)


일단 1번, 2번 모두 준비가 되면 설치를 진행하면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되다가 이런 화면이 나온다.


[개인파일, 앱을 유지] 라는 옵션이 나오는데

기존 PC의 상태 그대로 유지를 원한다면 그냥 설치하면되고

유지하고자하는 내용을 변경하고 싶거나, 초기화하고 싶다면 [유지할 항목 변경]에서 수정하고 설치하면 된다.


설치는 빠르면 20분에서 30~40분정도 소요가 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마지막 환경설정 화면이 뜨는데 사용과는 무관한 설정이니 대부분 [아니요]로 설정한다.



이제 윈도우10 업그레이드가 완료가 되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익스플로러 이외에 엣지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취향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제어판 시스템에 들어가서 정품인증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도 확인해본다.


단, 일부 사양이 낮은 PC들은 업그레이드를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728x90
반응형
,
반응형

 

시놀로지 nas, 외부에서 네트워크드라이브와 처럼 접속하기 (openVPN 활용)

 

회사에 설치된 NAS로 사무실에서는 SMB설정으로 네트워크드라이브 등록하여 PC처럼 사용하고 있는데요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나 외부에서 접속해야 될 일이 늘어나면서 외부에서도 사무실처럼 네트워크드라이브처럼 접속하는 방법을 알게되어 공유해봅니다.

 

NAS에 openVPN 설치 및 설정

우선 외부에서 접속을 하기 위해 NAS에 openVPN을 설치합니다.

NAS내 패키지 센터에서 openVPN을 설치해줍니다.

 

 

 

 

 

외부접속시 공유기 등에서 포트가 막혀있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공유기에서 VPN 포트 1194 포워딩

 

NAS에서 OpenVPN 설치와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PC에서 접속하기 위해 OpenVPN  프로그램을 다운 받습니다.

https://openvpn.net/community-downloads/

 

OpenVPN 설치가 끝났다면 이제는 NAS와 접속을 하기 위한 설정을 합니다.

설정파일은 NAS의 페이지에서 가지고 옵니다.

그러면 PC 다운받는 경로에 설정파일이 받아집니다.

이 파일의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설정으로 사용되는 파일은 "VPNConfig.ovpn" 이다.

이파일을 편집기로 열고 아래와 같이 수정하고 저장을 한다.

 

openvpn에서 이 설정파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경로로 복사, 붙여넣기 한다.
   C:\Program Files\OpenVpn\config  (64bit)

 

이제 설정작업은 끝났고 NAS에 연결을 한다.

모니터화면 오른쪽 하단에 보면 openvpn 아이콘이 있고 오른마우스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연결]을 클릭한다.

 

접속화면이 나오면 NAS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까지 잘되었다면

이제 PC에 네트워크드라이브를 생성해보자

 

여기에 IP는 NAS의 동적IP를 입력한다.

맨위 NAS OpenVPN 설정시 동적IP를 10.8.0.1 로 사용하였으니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네트워크드라이브가 아래와 같이 생성되었다

 
 

 

728x90
반응형
,